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

사주기초(간지체성론) - 천간(십간) 庚(경금)의 의미와 특징 및 통변하는 법(feat. 내 사주 내가 보는 법)

by 소홍심리사주 2024. 2. 3.
728x90
반응형

 

오늘은 사주기초 천간 7번째 글자인 경금의 의미와 특징 및 통변 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간지체성론 천간(십간) 경금의 의미

 

경금은 천간의 여섯번째 글자로 음에 해당합니다.

金水는 본체가 음이나 경금은 양이니 겉은 서늘하고 속은 건조합니다.

 

경은 단순히 쇠를 의미하기 보다도 사람으로 따지면 이제는 다 자랐음을 의미합니다.

가들에 접어들어 열매가 악어간다, 또는 道(도)의 의미를 깨닫는 것을 말합니다.

만물이 성장하고 잘 여물어 단단해지는 시기입니다.

하지만 수확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가공되지 않는 무쇠같은 성정을 지녔기에 거칠고 원석에 가까워 잘 다듬어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잘 다음어지지 않은 상태이기에 패기가 넘치고 자르고 베어버려 파괴시키는 사나운 기운이며 돌진하는 에너지입니다.

 

가을, 서리, 우박, 열매, 견고, 횡(자른다)을 말합니다.

방향은 서쪽이고, 색으로는 백색입니다.

인체로는 폐, 대장, 기관지, 골격, 치아, 피부, 코, 후각, 치질, 맹장, 장질부사, 혈액등에 해당합니다.

 

직업으로는 군인, 경찰, 운수업, 철강업, 철물, 고물강, 중장비기사 등에 종사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2. 간지체성론 천간(십간) 경금의 특징 및 성격

 

경금은 양일주에서 변신을 잘하기 때문에 종을 잘하는 것은 경금밖에 없습니다.

 

성격은 외로우며, 항상 약자의 편에 서서 대변하기에 조그만 일에도 화를 잘 내며 성격이 급하고 변화가 심합니다.

 

남이 한 것이 성에 차지 않아 자신이 다시 하는 기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너무 완벽을 기하다가 기회를 놓치는 쉬어며 성격은 둥글지 못합니다.

 

의리가 강하며 말로한 약속이라도 반드시 지킵니다.

스스로 일거리를 만들어서 하다 보니 항상 고달픕니다.

 

 

 

 

 

3. 간지체성론 기토와 천간(십간)과의 관계

 

경금 + 갑목(庚+甲)

일간 경금에게는 갑목이 편재가 되며 편재는 욕심을 항상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무조건 나쁘지만은 않으며 내것이 될 수 있을 때는 횡재수가 된다.

 

나무를 베어 기둥을 삼을 수 있어 좋을 수 있으나 독단적이 될 수 있다.

갑경충으로 걸려 있어 아버지, 부인과도 사이가 좋지 않을 수 있다.

 

신약사주에서는 갑신으로 들어왔을 경우 좋아진다.

신강사주에서는 갑인, 갑오로 들어올 경우 재관이 살아나기에 좋아집니다.

 

 

경금 + 을목(庚+乙)

일간 경금이 을목을 만나면 정재가 됩니다.

내강외유의 모습으로 감성적 내면을 가지게 됩니다.

 

신약사주에서는 을유나 을축으로 들어오면 좋고

을사이면 주중에 유금이나 축토가 있어야 좋습니다.

 

신강사주에서는 을미로 들어왔을 때 가장 좋습니다.

미토가 경금에게 재고의 역할을 하고 미중 정화가 관성까지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경금+병화(庚+丙)

일간 경금이 병화를 만났을때 병화는 편관이 됩니다.

 

편관으로 사주구성이 좋으면 법관, 고위직, 경찰, 군인으로 출세하지만 구성이 나쁘면 비정규직으로 근무하게 됩니다.

 

신약사주일 경우 뇌질환, 일사병을 조심해야 하며 병신, 병진으로 들어와야 좋습니다.

신강

사주일 경우 병인, 병오, 병술로 들어와야 하며 병인으로 들어올 경우 재물이 따라오기에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경금 + 정화(庚+丁)

정화가 일간 경금에게는 정관이 되지만 불이 약하여 편관인 병화보다도 못합니다.

 

신약사주일 경우 정유, 정축으로 들어와야 하며 정사인 경우 주중에 유금이나 축토가 있어야 금국으로 역할을 할 수 다 할 수 있습니다.

신강사주일 경우 정묘, 정미로 들어와야 하며 정미가 더 좋습니다.

미토가 경금에게는 돈창고가 되기 때문입니다.

 

 

경금 + 무토(庚+戊)

일간 경금이 무토를 만나면 편인으로 토생금을 받습니다.

편인으로 생면선이 됩니다. 

생각지도 못한 매매수나 큰돈이 생기기도 하지만 사기를 당해 큰 돈을 잃기도 합니다.

 

신약사주일 경우 무신, 무진으로 들어오면 좋습니다.

신강사주일 경우 무인, 무오, 무술로 들어오면 좋지만 상식이 용신일 경우 사주원국을 잘 살펴야 합니다.

 

 

경금 + 기토(庚+己)

경금이 기토를 만났을태 경금에게는 치명적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토가 강한 금을 생하다보니 허토가 되기 쉽습니다.

 

신약사주인 경우 기유, 기축으로 들어오면 경금이 뿌리를 튼튼히 할 수 있어 좋습니다.

신강사주인 경우는 기해, 기묘, 기미, 기사로 들어오면 좋습니다.

 

 

경금 + 경금(庚+庚)

비견으로 신약에는 힘이되어 좋지만 경쟁자가 생기고서 투쟁, 경쟁등 소란이 그치지 않습니다.

 

신약사주에는 경신, 경진으로 들어와쟈 좋습니다.

신강에는 경인 경오, 경술로 들어오면 좋고 그중에서 경인을 가장 좋아합니다.

인중 갑병이 재관으로 동시에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경금+ 신금(경+신)

일간 경음에 신금은 비겁으로 옆구리에 도둑을 데리고 사는 형국입니다.

도움을 주지도 얻지도 못하지만 신금의 순발력도 발휘하기 쉽지 않습니다.

 

신약인 경우 신유, 신축으로 들어오면 경금을 도와줄 수 있습니다.

신강사주에에서는 신해, 신묘, 신미, 신사로 들어와야 좋습니다.

 

 

경금+ 임수(庚+壬)

임수가 일간 경금을 만나면 식신으로 설기가 됩니다.

녹이 슨 쇠를 물에 씻어주기에 임수를 좋아합니다.

금왕 하며 식신이 잘 구성되어 있다면 재가 없더라도 잘 살 수 있습니다.

 

신약사주에는 임신이나 임진으로 들어오면 경금이 좋아한다.

신왕인 경우 임인, 임오, 임술로 들어오고 그중에 임인이 제일 좋습니다.

 

 

경금+계수(庚+癸)

인간 경금이 계수를 만나면 상관으로 되기다 됩니다.

그렇지만 지지를 잘 살펴 통변해야 합니다.

 

금생수가 된다고는 하지만 노력하지 않고 결과를 얻으려 하며 상생이 부족합니다.

 

신약사주의 경우 계유, 계축으로 들어오면 좋습니다.

계사의 경우 주중에 유금이나 축토가 있다면 금국을 형성해 유리하다 할 수 있습니다.

신강사주에서는 계묘, 계미, 계사로 들어오면 좋습니다.

 

 

 

 

 

4. 간지체성론 기토 + 지지의 통변

경금 + 자수(庚+子)

경금이 자수를 만나면 상관으로 사궁이 되고 겨울 속의 가을로 금보다는 수로 보아야 합니다.

금수쌍천(金水雙淸), 금수냉한(金水冷寒)으로 돈이 따르지 않습니다.

 

 

경금 + 축토(庚+丑)

일간 경금과 축토가 만나면 축토는 정인이 되고 경금은 냉한으로 동금(凍金), 얼어있는 금이 됩니다.

신강사주이고 상식이 용신인 경우는 무난하다.

 

 

경금 + 인목(庚+寅)

인목을 만나면 편재로 절지가 됩니다.

금왕이고 재관이 필요할 때는 인목이 귀성이 됩니다.

 

신약일 때는 편재가 되어 큰돈을 상실할 수 있습니다.

신왕사주가 인목을 만나면 부자로 살아갈 수 있습니다.

 

 

경금 + 묘목(庚+卯)

경금과 묘목이 만나면 경금은 묘목에 뿌리 하지 못하며 정재, 절지가 됩니다.

묘목은 목생화에 인색 하여 돈을 벌기는 하나 베풀지 못하는 인색함을 가지게 됩니다.

신약에는 묘목이 해롭고 신강에는 정묘로 들어오는 경우가 가장 좋습니다.

 

 

경금 + 진토(庚+辰)

경금이 진토가 만나면 편인, 양궁으로 토생금을 받아 자양지금(子養之金)이 됩니다.

쟁생궁 같은 역할을 하며 상식고에도 해당이 됩니다.

 

신약세는 주중에 인목과 묘목이 없다면 좋습니다.

신왕사주는 상식으로 자수가 용신이라면 자진수국이 되어 나쁘지 않습니다.

 

 

경금 + 사화(庚+巳)

경금이 사화를 만나면 사화는 편관으로 화극금으로 제련이 되다고는 하지만 세력을 얻는 것이 아니라 피상되고 맙니다.

 

신약인 경우 주중에 유금이나 축토를 만나면 착근을 할 수 있어 좋습니다.

신강인 경우 주중에 유금이나 축토가 있으면 금국으로 변해서 관재가 발생합니다.

 

경금 + 오화(庚+午)

오화가 경금에 정관으로 목욕궁이 되어 패지, 재살지가 되어 흉이 되면서 화극금을 받아 금의 임무를 상실합니다.

신약일 경구 관재가 발생하고 신강인 경우 재관이 용신일때는 아주 좋습니다.

상식이 자수가 용신일 경우 자오충으로 위태롭습니다.

 

 

경금 + 미토(庚+未)

정인으로 토생금 힘이 될 것 같지만 조토로 토생금이 안되어 그림 속의 떡입니다.

금왕, 신강일 때는 재고가 되어 경금을 기쁘게 하지만 신약일 때는 해롭습니다.

 

 

경금 + 신금(庚+申)

비견, 관궁, 정록으로 착근, 녹근하게 됩니다.

 

신강사주에는 견겁작용이 나와 재물을 뺏기게 되어 해롭습니다.

신약사주의 경우 비견으로 힘을 얻어 힘을 얻음과 동시에 금의 강도가 잘 조절되어 외강내유가 됩니다.

 

경금 + 유금(庚+酉)

유금이 경금을 만나면 비겁, 양인살로 '무기'를 동반하고 있다는 뜻으로 군인이나 경찰직업이 좋습니다.

 

신약에는 비겁으로 힘을 얻어 좋지만 신강일 경우 재관이 다 몰하기에 최악의 상황이 됩니다.

 

 

경금 + 술토(庚+戌)

경금과 술토가 만나면 술토는 편인, 관고, 인수고, 쇠궁이 됩니다.

술토도 조토가 되어 토생금이 안됩니다.

 

인목이나 오화를 만나면 화국이 되어 극이 되어 꺼리게 됩니다. 

신왕 할면 관고로 이용되어 좋습니다.

 

 

경금 + 해수(庚+亥)

경금이 해수를 만나면 식신, 금침, 병사궁에 해당되어 신왕할 때는 상식이나 재가 용신일 경우 설기가 잘 되어 吉(길할 길)로 작용되어 좋습니다.

신약인 경우 끝없는 설기로 인생이 서글퍼 탄식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