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 일주론 을축일주 여자 남자(건명 곤명)의 특징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60갑자 두번째로 을축일주입니다.
60갑자 을축일주의 특성을 먼저 살펴보면 寅午丑일생일 경우 탕화살에 해당합니다.
화상, 화재, 음독등 부상과 염세비관이 따르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을축일주의 특성은 사주 원국을 다 살펴서 분석해야 정확하지만 신체 어느 부분에 병이 있고 신경계통이나 수족에 이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을 곡각살이라고 하는데 사주 원국에 2~3개 이상 있어야 발현합니다.
사주명리 60갑자 일주론 을축(乙丑)일주 남자(건명)의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을축일주 건명(남자)의 특성은 집념이 강하여 반드시 결과를 만들어 내는 특징이 있습니다.
칠전팔기의 전형이죠.
인내심을 바탕으로 하여 사업을 성공시키기도 합니다.
을목(乙)은 음간이지만 목극토의 기운으로 편재가 강하게 발현됩니다.
축토(丑) 또한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재물추구 성향입니다.
고집과 자존심이 강하며 자기중심적이기도 합니다.
타인이 간섭하는 것을 싫어하며 돈을 사랑합니다.
사주명리 을축일주 남자(건명)의 을목은 생동감 있고 활달한 성격으로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을축일주는 음의 속성이 강해서 강한자에겐 약하고 약한자에겐 강한면이 있습니다.
외골수적인 기질도 있어서 시시비비를 분명하게 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을축일주의 지장간은 모두 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로 인해 내성적이며 침착하지만 냉정한 면이 있습니다.
초년엔 조금 힘들 수 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갑목이 있다면 타고 올라가 점차 안정된 면을 보이게 됩니다.
사주원국에 수기운이 약하다면 위암을 조심해야 합니다.
이러한 것을 풀어주기 위해서 활인업과 봉사활동으로 업상대체하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사주명리 을축일주 남자(건명)의 경우 오시 태생이라면 인생을 비관하고 부부해로가 어려울 수 있으니 각별히 조심하셔야 합니다.
군인, 경찰, 의사, 검사 또는 정육점이나 고깃집을 운영하여 직업으로 가지고 계신 에너지를 활용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사주명리 일주론 을축일주 여자(곤명)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을축일주 여자(곤명)의 경우 남편 복이 없는 대표적인 일주입니다.
파란만장한 삶이지만 부동산등에 투자한다면 성공합니다.
직업으로 경찰, 의사, 군인의 남편을 만난다면 기를 펴고 살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남편덕을 기대하기보다는 봉사활동이나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여 베풀수 있는 직업에 종사하여 배우자와 협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종교, 철학과 같은 학문에도 관심이 많지만 순수한 종교인이나 신앙인으로 가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습니다.
돈을 좋아하고 모으는데에만 관심이 있어 구두쇠가 될 수 있으니 주변을 돌아보며 베푸는 삶을 사시길 권해드립니다.
을축일주 남자 여자(건명, 곤명)의 전체적인 물상을 보면 을목(乙)은 화초, 덩굴나무입니다.
축토(丑)은 차갑고 습기가 많은 흙입니다.
이 둘을 조합해 보면 을축일주는 축축한 땅(진흙)에서 피어난 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을목의 형상이 구부러져있어 허리, 수족, 관절의 질병에 주의해야 합니다.
축은 동물로 소를 의미합니다.
농경사회에서는 소는 곧 재산입니다.
이로 인해 부의 축적 가능성이 많아 부자가 될 수 있지만 축적하는데만 에너지를 쓴다면 모아놓은 재산도 쓰지 못하고 갈 수도 있으니 베푸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을축일주의 특성은 원만하며 침착한 성품의 소유자입니다.
성공과 재물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기에 적극적으로 밀어붙이는 힘도 강합니다.
그러나 자신을 드러내는 표현방식에서 미성숙 할 수 있어 울분이 내면에 채여 있을 수 있습니다.
사주명리 을축일주 남자(건명), 여자(곤명)의 특징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사주명리는 점을 치는 도구가 아닌 타고난 자신을 알아가는 학문입니다.
나를 알고 타인을 이해하는 도구로 사주명리를 공부하시고 삶을 더욱 풍성하게 가꿀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사주오마카세 소홍이었습니다.
사주 명리 천간지지에 대해 좀더 공부해보고 싶다면 아래글을 읽어주세요
2024.02.04 - [사주명리] - 사주기초(간지체성론) - 천간(십간) 癸(계수)의 의미와 특징 및 통변법(feat. 내 사주 내가 보기)
사주기초(간지체성론) - 천간(십간) 癸(계수)의 의미와 특징 및 통변법(feat. 내 사주 내가 보기)
오늘은 간지체성론 천간 마지막 10번째 시간으로 계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간지체성론 천간(십간) 계수의 의미 癸(계수)는 천간의 끝이 되고 壬(임수)의 양이 변하여 陰(음)이 되는 것을 말
primera0430.tistory.com
2024.02.09 - [사주명리] - 사주기초(간지체성론) - 십이지 해수(feat. 내 사주 내가 보는 법 십이지지편)
사주기초(간지체성론) - 십이지 해수(feat. 내 사주 내가 보는 법 십이지지편)
사주기초 간지체성론 십이지 마지막 해수(亥)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십이지 자수부터 보시고자 하시는 분은 아래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십이지 자수(子) 십이지 축토(丑) 십이지 인목(
primera0430.tistory.com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명리 일주론(日柱論) - 병인일주 여자 남자(곤명, 건명) 특징 (0) | 2024.03.25 |
---|---|
사주명리 일주론(日柱論) - 갑자일주 여자 남자(건명, 곤명)의 특징 (1) | 2024.03.19 |
사주명리학 - 사주 천간합의 의미(갑기합, 을경합, 병신합, 정임합, 무계합) (0) | 2024.03.18 |
사주명리학 천간충 (0) | 2024.02.16 |
천간의 합화(合化) (2) | 2024.02.14 |